1. Vagrant로 우분투 서버 생성
개발을 하다 보면 급하게 리눅스 서버, 우분투 서버를 설치해야 할 경우가 생긴다. 이런 저럼 패키지를 찾아봐도 윈도우에서는 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다. 물론 이전에 작성한 글처럼 도커를 이용해서 우분투를 올리는 것도 빠르고 편하다.
하지만 하드웨어에 설치한 것 같은 우분투가 필요한 경우가 한번씩은 생긴다. 이럴 때 내 노트북에서 가장 빠르게 만드는 방법은 Vagrant와 Virtualbox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Vagrant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면 된다.
아래 파일은 우분투 bionic64 (18.04)를 4G 메모리와 8G 디스크에 설치하고 현재 폴더를 /vagrant에 공유하도록 하고 가상머신이 생성되면 apt update와 인증서를 업데이트하는 것까지 진행하는 Vagrant 파일이다. vagrant init로 생성한 파일에서 이후에도 수정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코멘트로 막은 부분을 삭제하지 않았다.
# -*- mode: ruby -*-
# vi: set ft=ruby :
# All Vagrant configuration is done below. The "2" in Vagrant.configure
# configures the configuration version (we support older styles for
# backwards compatibility). Please don't change it unless you know what
# you're doing.
Vagrant.configure("2") do |config|
config.vm.box = "ubuntu/bionic64"
# ...
# config.vm.box_check_update = false
# ...
# NOTE: This will enable public access to the opened port
# config.vm.network "forwarded_port", guest: 80, host: 8080
# ...
# config.vm.network "forwarded_port", guest: 80, host: 8080, host_ip: "127.0.0.1"
# ...
# config.vm.network "private_network", ip: "192.168.33.10"
# Create a public network, which generally matched to bridged network.
# Bridged networks make the machine appear as another physical device on
# your network.
config.vm.network "public_network"
# ...
# config.vm.synced_folder "../data", "/vagrant_data"
# ...
config.vm.synced_folder ".", "/vagrant", disabled: false
config.vm.provider "virtualbox" do |vb|
# Display the VirtualBox GUI when booting the machine
# vb.gui = true
# Customize the amount of memory on the VM:
vb.memory = "4096"
end
config.vm.disk :disk, size: '80GB', primary: true
# ...
config.vm.provision "shell", inline: <<-SHELL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y install ca-certificates curl
sudo install -m 0755 -d /etc/apt/keyrings
SHELL
end
이세 "vagrant up"을 실행하고 "vagrant ssh" 명령으로 연결해서 서버 작업을 할 수 있고, 서버와 공유할 자료는 현재 폴더에 넣으면 윈도우와 우분투에서 같이 사용할 수 있다.
2. 우분투 데스크탑과 VNC서버 설치
이렇게 서버로 사용하다가 가끔은 데스크탑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럴 경우 서버를 데스크탑으로 바꾸고 VNC로 연결하면 된다.
- 먼저 우분투 데스크탑 패키지를 설치하고,
sudo apt install ubuntu-desktop -y
- 시스템이 시작되면 GUI가 실행되게 설정하고
sudo systemctl set-default graphical.target
- VNC 서버를 설치하면 설치작업은 끝이 난다.
sudo apt install tigervnc-standalone-server -y
- 데스크탑에서 사용할 계정을 새로 생성하고
sudo adduser [사용자 계정]
- vnc로 연결할 때 암호를 걸려면 암호를 설정한다.
vncpasswd
- 이제 VNC 서버를 실행하면
vncserver -localhost no
VNC로 접속할 수 있다. VNC포트는 5900부터 시작하는데, 어떤 포트를 사용하는지 확인하려면
netstat -ant
5901 포트로 LISTEN 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으니 VNC로 접속할 때 5901을 사용하면 된다.
만일 vncpasswd를 설정했으면 Connect를 눌렀을 때 암호를 묻는 화면이 나타난다. vncpasswd명령에서 입력한 암호를 넣으면 된다.
'윈도우 개발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stAPI를 사용한 API 백엔드 개발; 2. Vagrant로 VirtualBox 서버 추가 (4) | 2024.11.28 |
---|---|
쿠버네티스로 MSA DevOps 환경 구축; Harbor - Registry 개선 (1) | 2024.11.23 |
윈도우 쿠버네티스 개발환경 ; 2. MySQL 배포하기 (1) | 2024.11.17 |
엔비디아 Jetson Xavier; 5. VNC로 쉽게 연결하기 (1) | 2024.11.11 |
React Native로 PDF Viewer 앱 만들기; 1. React Native 개발 환경 설치 (2) | 2024.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