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썸네일형 리스트형 Cmder; 윈도우 터미널 CMD 업그레이드, Git + 윈도우용 리눅스 명령 1. 윈도우 터미널PC에 DOS가 나온 시점부터 CMD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공식 터미널이었다. DOS가 윈도우로 넘어가서도 CMD는 바뀌지 않았고, CMD의 단순한 명령어를 VB Script 엔진까지 포함시켜 대폭 확장시킨 PowerShell을 제공하고 있지만, 여전히 일반 윈도우 사용자들은 CMD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소스와 리눅스 생태계를 수용하기로 하고 나고, Linux Sub-system을 지원하는 많은 프로그램들이 윈도우에서 사용되고 있고, 이런 프로그램들을 사용하기 위한 CLI환경으로 CMD를 사용하면 많은 제약을 느끼게 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PowerShell을 리눅스에서도 동작하는 Cross Platform Shell로 밀고 있지만, PowerShell로 작성된 .. 더보기 Neovim; DevOps에 최적인 vim 에디터를 업그레이드 해보자 0. 터미널(콘솔)에서 사용하는 에디터많은 경우 윈도우를 사용하는 개발자는 VSCode와 같은 GUI기반의 IDE에서 대부분의 작업을 하고 터미널에서 복잡한 편집 작업을 하기 않기 때문에, 윈도우의 메모장 수준인 nano와 같은 간단한 편집기를 사용하는 일 이 많았다. 하지만, DevOps환경에서 개발자는 보다 많은 작업을 터미널에서 하게 되고, 설정파일과 배포에 필요한 작업파일뿐 아니라, 가끔은 소스코드에 대한 편집작업도 터미널에서 하게 된다. 터미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에디터에는 vi계열의 에디터emacs계열의 에디터기타, nano, ne, 등이 있는데, 보통 리눅스 계열의 OS에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기도 하고, 개인적으로도 vi계열의 에디터을 좋아한다. vi는 vim (vi improved) 버전이.. 더보기 ueli: 윈도우용 스팟라이트(Spotlight) - 검색, 실행, 계산 등을 빠르게 Mac을 사용하면 스팟라이트(Spotlight)라는 편리한 기능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문서를 빨리 찾거나, 간단한 계산을 하거나, 인너넷에 있는 정보를 검색할 때에도 Command + Space를 누르면 나오는 입력창을 사용하면 빠르게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 사용하면 자주 사용할 수밖에 없는 필수 기능이다. 더 많은 기능을 찾는 사람들은 Alfred를 사용하는데, Powerpack을 구매하면 미리 만들어 놓은 자동기능(workflow)을 사용할 수 있어 더 많은 기능을 키보드 하나로 해결할 수 있다. 윈도우로 작업하면 가장 아쉬웠던 것이 윈도우용 스팟라이트인데, 윈도우에서도 동작하는 ueli라는 프로그램을 우연히 발견해서 작업의 효율을 올리고 있다.1. ueli 설치아래.. 더보기 calibre (칼리버) : 전자책 관리 프로그램 학교 다닐 때 취미 중의 하나가 책 쇼핑이었다. 서점에서 이 책 저책 고르다가 마음에 드는 책이 있으면 하나둘씩 사서 집에 쌓아 놓았다. 책장 가득 쌓여있는 책을 보면서 뿌듯해했는데, 막상 집을 떠나 회사에 입사해서 기숙사에 들어가니 책을 많이 가지고 갈 수 없게 되었고, 막상 뭔가를 기억나서 찾으려고 하면 멀리 떨어져 있는 내 책장에 있는 책인 경우가 종종 있었다. 그래서 pdf로 전자책들이 만들어지면서 전자책을 모으기 시작했다. 하지만 전자책은 책장에 꽂혀 있는 책 보다 더 관리하기가 힘들었다. 찾으려고 해도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았고, 인덱스를 걸고 검색하려고 해도 정확한 단어를 넣지 않으면 찾기 힘들었다. 그때 발견한 것이 Calibre (칼리버)이다. Amazon kindle이나 Google, A.. 더보기 개발 소스코드 관리; 2. Git을 설치하고 덤으로 얻는 리눅스 환경 개발 소스코드 관리1. 형상관리, CI/CD2. Git을 설치하고 덤으로 얻는 리눅스 환경3. GitHub 사용하기 - 1) 계정생성, Token 발행4. GitHub 사용하기 - 2) VSCode 연결, 해제5. 예제로 본 Git 사용법 (기본 명령어) - 11. Git과 MinGWGit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Version Control 소프트웨어이다. 가장 많은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호스팅 되고 있는 곳이 GitHub이고 당연히 오픈소스를 받는 대표적인 방법이 Git이다. 이전에는 SourceForge가 가장 많았는데 내가 아는 많은 프로젝트들이 GitHub으로 이전했다. Source Forge는 CVS (Concurrent Version System)나 SVN (이건 약자가 아니라 Subv..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