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증

NestJS 개발 시작하기(로그인 인증 개발); 7. 암호화와 해쉬 함수 NestJS 개발 시작하기(로그인 인증 개발)1. NestJS와 Spring의 비교2. NestJS CLI로 개발시작3. API개발과 Swagger4. TypeORM으로 DB연결5. Session, JWT, OAuth 차이6. jwt 인증 (1)7. 암호화와 해쉬 함수 6. 암호화와 해쉬 함수유럽에서 2016년 5월에 GDPR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이 발효되면서 많은 나라에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규정을 만들고 있다. 우리나라도 2021년 2월부터는 개인정보보 보호법에 따라 특정 정보, 또는 정보의 조합이 특정 개인을 지칭할 수 있는 경우 민감정보로 규정하고 이를 보호하는 규정을 적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회사서비스는 어느 정도 개인 정보를 담고 있을 수밖에 없어.. 더보기
NestJS 개발 시작하기(로그인 인증 개발); 6. jwt 인증 (1) NestJS 개발 시작하기(로그인 인증 개발)1. NestJS와 Spring의 비교2. NestJS CLI로 개발시작3. API개발과 Swagger4. TypeORM으로 DB연결5. Session, JWT, OAuth 차이6. jwt 인증 (1)7. 암호화와 해쉬 함수 6. @nestjs/jwta. JWT token 생성이제, JWT와 OAuth를 사용해서 인증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자. 앞에서 본 OAuth인증절차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id, password를 사용해서 로그인하면 Token을 생성하는 일이다. 먼저, JWT Token 패키지를  @nestjs/jwt 패키지를 설치한다. pnpm install @nestjs/jwt 설치된 @nestjs@jwt 패키지를 사용해서 OAuth를 구현하.. 더보기
NestJS 개발 시작하기(로그인 인증 개발); 5. Session, JWT, OAuth 차이 NestJS 개발 시작하기(로그인 인증 개발)1. NestJS와 Spring의 비교2. NestJS CLI로 개발시작3. API개발과 Swagger4. TypeORM으로 DB연결5. Session, JWT, OAuth 차이6. jwt 인증 (1)7. 암호화와 해쉬 함수 6. Session, JWT (JSON Web Token), OAutha. Session앞에서는 사용자가 email과 password를 사용해서 로그인을 하면 서비스의 isLogedin에 정보를 저장했다. account.service.ts의 마지막에 아래와 같이 로그인 상태를 확인하는 함수를 추가하고 ... async isLogedIn(email: string): Promise { return this.isLogedin[.. 더보기
NestJS 개발 시작하기(로그인 인증 개발); 4. TypeORM으로 DB연결 NestJS 개발 시작하기(로그인 인증 개발)1. NestJS와 Spring의 비교2. NestJS CLI로 개발시작3. API개발과 Swagger4. TypeORM으로 DB연결5. Session, JWT, OAuth 차이6. jwt 인증 (1)7. 암호화와 해쉬 함수 5. TypeORM앞에서 정의한 Account정보를 DB로 저장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DB인 MySQL을 사용하기로 했다. PostgreSQL이나, Node.js와 같이 사용하기 쉬운 MongoDB도 사용하는 방법은 많이 다르지 않다. MySQL과 연결하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mysql패키지를 설치하고 DB를 직접 연결하는 방법도 있지만, NestJS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TypeORM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