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Jetson Xavier
1. Virtualbox로 우분투 PC 만들어 AI 보드 설치
2. VMware로 우분투 PC 만들어 AI 보드 설치
Virtualbox로 설치한 우분투 데스크탑에서 JetPack SDK를 설치할 때 Flash가 99%에서 멈추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엔비디아 포럼을 찾아보니 Virtualbox를 사용하면 문제가 생긴다는 글을 발견했다. 물론 물리 데스크탑을 사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겠지만, 가상머신으로 한번 시도해 보기로 하고 VMware를 설치하고 한 번 더 시도해 보기로 했다.
3. VMware Workstation 우분투에서 JetPack SDK 설치
a. 개인용 VMware 프로그램이 사라지고 있다.
이전에는 VMware Player라고 가상머신은 만들 수 없고, 만들어진 가상머신을 사용할 수만 있는 무료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물론, Pro 버전을 구매하면 되겠지만 Virtualbox 같은 무료 Hypervisor가 많은 상황에서 가끔씩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하기 위해 구매를 하기에는 망설여지는 이유가, 이전에 구매한 제품이 버전이 올라가면서 유로 업그레이드를 해야 하거나, 더 기간이 지나면 다시 구매를 해야 하는 요구를 받았기 때문이다. 더구나, 무료 Player에도 가상머신을 만들어서 올릴 수 있는 방법이 인터넷에 공개되면서 구매의지는 더 사라졌다. 시장에서도 개인용 VMware프로그램의 판매량은 감소했다.
2023년 11월에 브로드컴이 VMware를 인수하면서 개인 용도 사용에 한해 VMware Workstation Pro를 무료로 배포한다고 여러 블로그와 할인 제품 정보 사이트들에 올라왔었다. 당연히 Player는 다운로드할 수 없게 되었는데, VMware Workstation 조차도 VMware 공홈에서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구글을 통해 검색해야 나오는 예전 화면으로 들어가면 다운로드 링크는 브로드컴 Support로 연결되었다. 아직까지 다운로드는 되는 것 같은데 언제까지 제공할지 모르니 VMware Workstation Pro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서 보관해야 할 것 같다.
사실, Mac에서 윈도우를 사용하려면 패러랠즈(Paralells)를 사용해야 화면이 부드럽게 움직이듯이, 윈도우에서는 VMware를 사용하면 Virtualbox보다 GUI환경에서 화면이 더 부드럽게 움직인다. Virtualbox도 그동안 많이 빨라졌고 Vagrant 같은 도구 덕분에 더 쓸모가 있어졌지만, 윈도우에서 GUI를 사용하는 가상머신을 물리 컴퓨터처럼 부드럽게 경험해 볼 수 있는 Hypervisor는 VMware라고 생각했는데, 이제 사라지고 있는 듯해서 아쉽게 느껴진다.
암튼, 오랜만에 VMware Workstation을 윈도우에 설치해 보기로 했다.
b. VMware Workstation Pro로 우분투 데스크탑 설치
VMware Workstation Pro를 받을 수 있는 주소를 브로드컴 Support 페이지에서 찾아 아래에 등록해 놓았다.
브로드컴에 가입하지 않았더면 가입을 하고 로그인을 해야 다운로드가 가능한데, 브로드컴 제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아무나 가입할 수 있고,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하지 않아도 가입하는데 문제가 없다. 가입하고 로그인이 다시 했다면 링크를 다시 복사해서 페이지로 이동한다. 만일 링크가 깨어졌다면, 화면 중간에 있는 검색창이 아니라 로그인 계정 옆에 있는 돋보기를 눌러 "vmware workstation pro"를 검색하면 페이지를 찾을 수 있다. 다운로드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약관과 사용지역제한에 대한 부분을 동의하면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번에는 우분투 데스크탑 ISO 파일을 받아 가상머신을 만든다. 20.04 버전 ISO 파일은 아래 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다.
VMware에는 Vagrant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File 메뉴에서 New Virtuial Machine을 선택하거나, Ctrl + N 키를 눌러 가상머신을 만드는 위저드를 실행한다. 처음 Workstation을 실행했을 때에는 화면 중앙에도 가상머신을 만드는 버튼이 보인다. 위저드의 처음 두 단계는 기본설정으로 두고 "Next >"를 선택했고, 세 번째 화면에서 가상머신에서 사용할 계정정보를 입력했다.
가상머신 이름을 지정하고 "Next >"를 누르면, 디스크 크기를 지정하는 화면이 나오는데 70G 이상으로 지정하고,
"Next >"를 누르면 설정된 요약이 나오면서 "Finish"를 누르는 화면이 나오는데, 자세히 보면 메모리가 4096으로 SDK Manager에서 요구하는 최소사양 8192보다 적기 때문에 "Customiza Hardware"를 누르고 메모리와 USB설정을 3.1로 변경한 다은 "Close"하고 "Finish"를 누르면 우분투 데스크탑 가상머신이 만들어진다.
c. JetPack 설치 재 도전
앞에서 진행한 "2. JetPack 설치"에서 "b. SDK Manager로 JetPack 설치" 절차를 다시 진행하면, 이번에는 리눅스를 Flash 하는 과정이 문제없이 진행되고 나머지 SDK가 잘 설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행하면서 보니, Jetson Xavier의 USB연결이 수시로 끊어지고 다시 연결되는 현상이 나타났었는데, VMware와는 달리 Virtualbox의 USB는 자동으로 연결되는 기능이 떨어져서 Flash 하다가 진행이 멈춘 것이 아닐까? 추측해 봤다.
마지막으로, 이전 버전 (20.04) 의 우분투 ISO파일을 사용했으니, OS를 업데이트를 해서 보안 패치를 한다.
sudo apt update
sudo apt upgrade
Jetson Xavier에 모니터와 키보드를 연결해고 JetPack을 설치하면서 설정했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해서 로그인 한 다음 ip 주소를 확인하고 나면, 이제 윈도우에서 ssh로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
ip a
'SW, HW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ageMagick; 강력한 무료 이미지 변환, 편집 기능 (2) | 2024.11.16 |
---|---|
Qalculate! ; 윈도우 (MacOS, Linux 지원) 무료 + 최고의 CLI 계산기 (4) | 2024.11.08 |
엔비디아 Jetson Xavier; 1. Virtualbox로 우분투 PC 만들어 AI 보드 설치 (6) | 2024.10.22 |
ShareX; 화면 캡처 + 화면 녹화 + 자동 SNS 업로드 프로그램 (5) | 2024.10.15 |
balenaEtcher, Rufus; Bootable USB, SD를 쉽게 만드는 프로그램 (5) | 2024.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