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엘라스틱서치(ELK)로 만드는 모니터링 시스템; 1. Elasticsearch, Kibana 엘라스틱서치(ELK)로 만드는 모니터링 시스템1. Elasticsearch, Kibana2. Meticbeat - 시스템관리3. Filebeat - App Log수집4. Logstash - 통합, 운영 0. 엘라스틱서치 (Elasticsearch)구글이 검색엔진을 발표한 이듬해인 1999년에 Lucene이 최초로 공개되었고, 2001년에 검색엔진을 Java로 재개발된 후, 2005년에 아파치 프로젝트에 합류하게 된다. 하지만, 구글이 큰 성공을 거둔 것과 달리 Lucene 검색엔진은 인기를 끌지 못했다. 생각해 보면, 검색에 대한 개발 요구사항을 맞추기 위해 어려운 Lucene을 설치하고 개발에 적용하기보다, 간단하게 RDB의 비정형 검색기능을 사용하는 방식을 더 선호했기 때문에, Lucene 검색엔진이.. 더보기 Cmder; 윈도우 터미널 CMD 업그레이드, Git + 윈도우용 리눅스 명령 1. 윈도우 터미널PC에 DOS가 나온 시점부터 CMD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공식 터미널이었다. DOS가 윈도우로 넘어가서도 CMD는 바뀌지 않았고, CMD의 단순한 명령어를 VB Script 엔진까지 포함시켜 대폭 확장시킨 PowerShell을 제공하고 있지만, 여전히 일반 윈도우 사용자들은 CMD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소스와 리눅스 생태계를 수용하기로 하고 나고, Linux Sub-system을 지원하는 많은 프로그램들이 윈도우에서 사용되고 있고, 이런 프로그램들을 사용하기 위한 CLI환경으로 CMD를 사용하면 많은 제약을 느끼게 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PowerShell을 리눅스에서도 동작하는 Cross Platform Shell로 밀고 있지만, PowerShell로 작성된 .. 더보기 윈도우 쿠버네티스 개발환경 ; 1. PostgreSQL 배포하기 윈도우 쿠버네티스 개발환경1. PostgreSQL 배포하기 2. MySQL 배포하기 DevOps 환경이 구축이 되었으니, 이제 만들어진 쿠버테티스 클러스터에 프로젝트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기로 했다. 대부분은 Helm을 사용하면 쉽게 설치할 수도 있지만, 회사 개발자가 Helm으로 PostgreSQL을 설치하다가 문제가 발생하자 해결하지 못하는 것을 보고, 기본이 되는 쿠버네티스 설치부터 정리해 보기로 했다. Docker로 PostgreSQL를 설치하는 방법은 앞에서 정리한 적이 있다. 윈도우에 만드는 리눅스 개발 환경; 8. Docker로 PostgreSQL 시작하기윈도우에 만드는 리눅스 개발 환경 목차 1. 우분투 리눅스 설치 (윈도우 10) 2. 윈도우에 Docker 설치 3.. 더보기 MindAtom; Mac처럼 아름다운 윈도우용 무료 마인드맵(MindMap) 요즘은 학교에서도 생각을 정리할 때 마인드맵을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마인드맵은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아이디어를 정리해 나갈 때 사용하기 좋은 방법으로,생각의 흐름대로 시각적으로 아이디어를 표현할 수 있어,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브레인스톰밍(brainstorm)을 하거나,프로젝트처럼 작업을 나누면서 정리해 나갈 때 효과적인 방법이다.나도, Java를 개발할 때 많이 사용하던 이클립스 IDE 기반으로 만들어진 Xmind를 예전에는 많이 사용하다가, 비용문제로 무료 오픈소스인 Freemind를 사용해 왔는데, 세련되지 못한 인터페이스로 인해 사용할 때마다 좋은 인상이 남지는 않았던 것 같다. Mac OS에서 윈도우를 돌아오면서 디자인이 예쁜 프로그램을 찾아보기 어려웠는데, MindAtom은 Mac용 Ap.. 더보기 쿠버네티스로 MSA DevOps 환경 구축; 7. Helm | Chart - 패키지 만들기 쿠버네티스로 MSA DevOps 환경 구축1. 로컬 쿠버네티스설치2. 로컬 컨테이너 Registry3. Pod, Service, Deployment4. 포트포워딩 없는 Minikube5. URL기반 Service - Ingress6. Helm | Chart - 패키지 설치7. Helm | Chart - 패키지 만들기8. ArgoCD - GitOps8. Chart 패키지 만들기앞에서는 Helm을 사용해서 Artifactory Hub에 있는 소프트웨어 패키지(Chart)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했었다. 이제 내가 개발한 서비스를 Chart 패키지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려고 한다. Chart 패키지로 만드는 이유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쿠버네티스에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배포하는 단계를 줄이고 자동화.. 더보기 쿠버네티스로 MSA DevOps 환경 구축; 6. Helm | Chart - 패키지 설치 쿠버네티스로 MSA DevOps 환경 구축1. 로컬 쿠버네티스설치2. 로컬 컨테이너 Registry3. Pod, Service, Deployment4. 포트포워딩 없는 Minikube5. URL기반 Service - Ingress6. Helm | Chart - 패키지 설치7. Helm | Chart - 패키지 만들기8. ArgoCD - GitOps8. Helm 사용하기쿠버네티스는 예를 들어 하나의 마이크로서비스, 또는 API서비스를 배포하기 위해 많은 절차를 거쳐야 한다. Docker image를 찾아 Pod템플릿을 만들고 ReplicaSet을 정의해서 Deployment를 만들고, Service를 정의하고 Deployment와 연결해 주는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 작업을 새로운 API서비스를 만들 때마.. 더보기 쿠버네티스로 MSA DevOps 환경 구축; 5. URL기반 Service - Ingress 쿠버네티스로 MSA DevOps 환경 구축1. 로컬 쿠버네티스설치2. 로컬 컨테이너 Registry3. Pod, Service, Deployment4. 포트포워딩 없는 Minikube5. URL기반 Service - Ingress6. Helm | Chart - 패키지 설치7. Helm | Chart - Chart 만들기8. ArgoCD - GitOps7. Ingress지금까지는 쿠버네티스 Service를 외부에 열어주는(expose) 방법으로 NodePort를 사용했다. NodePort는 포트(Port) 번호로 접속할 수 있도록 Node(서버)의 iptable을 설정해 주는 단순한 연결 방법이다. 하지만 포트번호를 다르게 하는 것 만으로 Pod별로 제공하는 기능을 분류하려면 다시 DNS를 사용해서 DNS.. 더보기 킨들 스크라이브(Kindle Scribe); 이북리더기 + 노트북/메모장 0. 킨들(Kindle) 이북리더기처음 킨들(Kindle) 이북리더기를 사용하게 된 건 아마 2012년이었을 것이다. KT에서 업무용으로 지급한 iPad 1세대로 본부회의에 참석해서 발표자료도 보고 우리 팀 주간보고를 할 때 사용해 봤는데, 들고 있기에는 많이 무거운 편이었다. 그러던 중, 나와 협업하던 계열사의 팀장이 아마존 킨들(Kindle)이라는 이북리더기를 보여줬다. 이전까지 킨들(Kindle)이 약간 오래된 종이 같은 누런색을 띄고 있는데, 팀장은 새로 구매한 페이퍼화이트(Paperwhite)는 흰색종이처럼 보여 너무 좋다고 극찬했다. 그래서, 처음으로 킨들(Kindle) 이북리더기를 구매했다. 킨들(Kindle) 이북리더기는 들고 다니기에는 좋은, 가벼운 무게이고,책을 구매하면 인터넷으로 바로.. 더보기 이전 1 ··· 4 5 6 7 8 9 10 ··· 14 다음